주제별 연표

3879건 검색
연표명
연도
월일
연표구분
연표내용
2014
반핵탈핵
환경운동연합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설계수명이 끝난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을 심사에 들어간 가운데 오늘 ‘원전 재앙이 현실이 된다면’이라는 주제를 그린 영상 (김환태 감독 총연출 및 6명의 다큐 감독 참여)를 공개했다.
2010
7월 22일
환경단체
환경운동연합은 홍수기만이라도 4대강 공사를 중단하고 대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며 남한강 이포보와 낙동강 함안보 점거 고공농성 시작. 각각 40일과 20일 동안 진행된 공공 농성 기간 동안 4대강범대위는 국회 차원의 4대강 검증특위 등을 요구했으나,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의 반대로 성사되지 않음.
2005
생태계보전
그린피스의 워리워호가 우리나라 해역의 고래조사를 위해 인천항에 입항
2000
일반
1. 시민의 힘으로 이룬 동강댐 백지화 2. 새만금 간척사업 최대 환경현안으로 등장 3. 매향리 주민피해와 미군기지 공해로 소파 개정 논의 불붙다 4. 납꽃게 파동으로 수입 먹을 거리 불안감 확산 5. 반달가슴곰이 살아있다 6. 영동지역 산불로 산림과 지역주민들 가슴이 검게 그을리다 7. 낙동강 살리기와 지리산 생태계 보전운동 8. 난개발 조장하던 준농림지 폐지 9. 남북 화해 속에 위협받는 비무장지대 생태계 10. 시민ㆍ환경운동 정치환경 개혁에 나서다
2002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10월 8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 대연회장에서 한국의 환경운동을 넘어 전지구적인 환경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는 국제적인 환경단체로 거듭나는 후원행사 마련함.
2000
조직운영
1993년 4월2일 '환경은 생명'이라는 선언과 함께 시작된 환경운동연합은 2000.10 7만3천명의 회원과 47개 지역조직이 활동하는 아시아 최대의 환경단체로 성장. 인간과 자연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계의 비전을 위해 세종문화회관에서 [환경운동연합 후원의 밤]을 개최.
1998
조직운영
세종문화회관에서 환경운동연합 후원의 밤 개최. 현재 33개 지역조직과 47,000여 명의 회원이 활동 중으로 아시아 최대의 시민환경조직으로 성장. 앞으로 10만명의 회원을 목표로 행사 개최.
1993
조직운영
명동 YMCA강당에서 93년 행사 개최, 93년 환경대상으로 김관용(제병훈련장설치 반대 인제군 투쟁위원장), 환경지역운동상은 정성희(동아일보 기자), 환경문화예술상은 강우현(아시아교류문화 연구소장), 공로회원상은 방동근회원, 김창기 회원, 임송택 회원, 윤명숙 회원 수상. 김봉규(기업은행 부행장), 김덕치(환경처 대기제도 과장)에게 감사패 수여
1997
조직운영
1993년 결성된 환경운동연합은 현재 3만6천여 명의 회원을 보유. 1998년말까지 10만 명의 회원 모집을 목표로 활동. 공동대표 이세중 전 대한변협회장, 신경림 시인, 김진현 시립대 총장, 고문에는 김수환 추기경, 송월주 총무원장, 강원용 크리스찬아카데미 이사장, 유인촌 연예인협회 회장, 장미희 교수, 오세훈 변호사.
2007
일반
환경운동연합 대표단과 하이닉스 경영진은 '하이닉스 환경경영검증위원회'를구성한다는 협약식 진행. 우리나라 기업 중 최초로 일상적인 환경관리 및 환경경영 현황을 환경단체가 구성하는 위원회를 통해 공개 검증받음
2008
조직운영
2008년 11월 5일부터 11월 29일까지 환경운동연합 비상대책기구 '특별대책회의' 운영
2014
반핵탈핵
환경운동연합은 9월 17일 오전 10시 반, 수명 다한 원전의 폐쇄를 요구하며 노후원전폐쇄 기자회견과 액션을 펼쳤습니다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4월 2일 프레스 센터에서 창립5주년 기념식과 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 82년 공해문제연구소로 출발, 93년 전국 8개 환경단체의 연합체로 발족한 환경련은 현재 전국 34개 지역조직과 4만2천여 명의 회원을 보유. 이날 행사에는 고건 전 국무총리와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이 참석.
2007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 창립 14주년을 맞아 환경센터 앞마당에서 신임공동대표, 사무총장 이취임식 진행
1993
조직운영
공해추방운동연합, 부산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대구 공해추방운동협의회, 광주 환경운동시민연합, 마산·창원 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울산 공해추방운동연합, 진주 남강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목포 녹색연구회 8개 단체 참여. 박경리(소설가), 이세중(대한변협회장), 장을병(성대총장) 3인 공동대표, 최열 전 공추련의장을 사무총장으로 선출
2002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스위스 베아텐베르크에서 열린 '지구의 벗 국제운동본부' 총회에서 세계 주요 3대 환경단체 중의 하나인 '지구의 벗' 회원단체에 정식 가입함. 전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지구의 벗 66개 회원단체는 만장일치로 환경연합의 회원가입을 결정함.
2009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 제9대 공동대표 (김석봉 진준환경운동연합의장, 지영선 지도위원, 이시재 가톨릭대학교 교수) 취임, 감사 (권헌열 환경연합 정책위원, 김호철 법무법인 한울대표변호사, 박상철 공인회계사), 사무총장 (김종남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취임. 환경운동연합 제2기 시민환경운동의 출발
2005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 제7대 사무총장선거에서 김혜정 후보 당선. 총선거인수 8393표 가운데 3438표 득표 40.96%의 지지를 얻음
2012
조직운영
남산 문학의 집에서 전국 환경운동연합 임원과 활동가, 회원들이 모인 가운데 제 10기 공동대표와 사무총장 취임. 10기 공동대표단은 이시재, 지영선, 장재연, 사무총장 염형철
1997
조직운영
과천, 속초, 여수여천, 청주환경련 추가

콘텐츠

주제별 연표

3879건 검색
연표명
연도
월일
구분
내용
2014
반핵탈핵
환경운동연합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설계수명이 끝난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을 심사에 들어간 가운데 오늘 ‘원전 재앙이 현실이 된다면’이라는 주제를 그린 영상 (김환태 감독 총연출 및 6명의 다큐 감독 참여)를 공개했다.
2010
7월 22일
환경단체
환경운동연합은 홍수기만이라도 4대강 공사를 중단하고 대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며 남한강 이포보와 낙동강 함안보 점거 고공농성 시작. 각각 40일과 20일 동안 진행된 공공 농성 기간 동안 4대강범대위는 국회 차원의 4대강 검증특위 등을 요구했으나,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의 반대로 성사되지 않음.
2005
생태계보전
그린피스의 워리워호가 우리나라 해역의 고래조사를 위해 인천항에 입항
2000
일반
1. 시민의 힘으로 이룬 동강댐 백지화 2. 새만금 간척사업 최대 환경현안으로 등장 3. 매향리 주민피해와 미군기지 공해로 소파 개정 논의 불붙다 4. 납꽃게 파동으로 수입 먹을 거리 불안감 확산 5. 반달가슴곰이 살아있다 6. 영동지역 산불로 산림과 지역주민들 가슴이 검게 그을리다 7. 낙동강 살리기와 지리산 생태계 보전운동 8. 난개발 조장하던 준농림지 폐지 9. 남북 화해 속에 위협받는 비무장지대 생태계 10. 시민ㆍ환경운동 정치환경 개혁에 나서다
2002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10월 8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 대연회장에서 한국의 환경운동을 넘어 전지구적인 환경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는 국제적인 환경단체로 거듭나는 후원행사 마련함.
2000
조직운영
1993년 4월2일 '환경은 생명'이라는 선언과 함께 시작된 환경운동연합은 2000.10 7만3천명의 회원과 47개 지역조직이 활동하는 아시아 최대의 환경단체로 성장. 인간과 자연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계의 비전을 위해 세종문화회관에서 [환경운동연합 후원의 밤]을 개최.
1998
조직운영
세종문화회관에서 환경운동연합 후원의 밤 개최. 현재 33개 지역조직과 47,000여 명의 회원이 활동 중으로 아시아 최대의 시민환경조직으로 성장. 앞으로 10만명의 회원을 목표로 행사 개최.
1993
조직운영
명동 YMCA강당에서 93년 행사 개최, 93년 환경대상으로 김관용(제병훈련장설치 반대 인제군 투쟁위원장), 환경지역운동상은 정성희(동아일보 기자), 환경문화예술상은 강우현(아시아교류문화 연구소장), 공로회원상은 방동근회원, 김창기 회원, 임송택 회원, 윤명숙 회원 수상. 김봉규(기업은행 부행장), 김덕치(환경처 대기제도 과장)에게 감사패 수여
1997
조직운영
1993년 결성된 환경운동연합은 현재 3만6천여 명의 회원을 보유. 1998년말까지 10만 명의 회원 모집을 목표로 활동. 공동대표 이세중 전 대한변협회장, 신경림 시인, 김진현 시립대 총장, 고문에는 김수환 추기경, 송월주 총무원장, 강원용 크리스찬아카데미 이사장, 유인촌 연예인협회 회장, 장미희 교수, 오세훈 변호사.
2007
일반
환경운동연합 대표단과 하이닉스 경영진은 '하이닉스 환경경영검증위원회'를구성한다는 협약식 진행. 우리나라 기업 중 최초로 일상적인 환경관리 및 환경경영 현황을 환경단체가 구성하는 위원회를 통해 공개 검증받음
2008
조직운영
2008년 11월 5일부터 11월 29일까지 환경운동연합 비상대책기구 '특별대책회의' 운영
2014
반핵탈핵
환경운동연합은 9월 17일 오전 10시 반, 수명 다한 원전의 폐쇄를 요구하며 노후원전폐쇄 기자회견과 액션을 펼쳤습니다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4월 2일 프레스 센터에서 창립5주년 기념식과 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 82년 공해문제연구소로 출발, 93년 전국 8개 환경단체의 연합체로 발족한 환경련은 현재 전국 34개 지역조직과 4만2천여 명의 회원을 보유. 이날 행사에는 고건 전 국무총리와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이 참석.
2007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 창립 14주년을 맞아 환경센터 앞마당에서 신임공동대표, 사무총장 이취임식 진행
1993
조직운영
공해추방운동연합, 부산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대구 공해추방운동협의회, 광주 환경운동시민연합, 마산·창원 공해추방시민운동협의회, 울산 공해추방운동연합, 진주 남강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목포 녹색연구회 8개 단체 참여. 박경리(소설가), 이세중(대한변협회장), 장을병(성대총장) 3인 공동대표, 최열 전 공추련의장을 사무총장으로 선출
2002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스위스 베아텐베르크에서 열린 '지구의 벗 국제운동본부' 총회에서 세계 주요 3대 환경단체 중의 하나인 '지구의 벗' 회원단체에 정식 가입함. 전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지구의 벗 66개 회원단체는 만장일치로 환경연합의 회원가입을 결정함.
2009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 제9대 공동대표 (김석봉 진준환경운동연합의장, 지영선 지도위원, 이시재 가톨릭대학교 교수) 취임, 감사 (권헌열 환경연합 정책위원, 김호철 법무법인 한울대표변호사, 박상철 공인회계사), 사무총장 (김종남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취임. 환경운동연합 제2기 시민환경운동의 출발
2005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 제7대 사무총장선거에서 김혜정 후보 당선. 총선거인수 8393표 가운데 3438표 득표 40.96%의 지지를 얻음
2012
조직운영
남산 문학의 집에서 전국 환경운동연합 임원과 활동가, 회원들이 모인 가운데 제 10기 공동대표와 사무총장 취임. 10기 공동대표단은 이시재, 지영선, 장재연, 사무총장 염형철
1997
조직운영
과천, 속초, 여수여천, 청주환경련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