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연표

3879건 검색
연표명
연도
월일
연표구분
연표내용
1998
기후에너지
환경련이 1월13일 서울시내 관공서, 정당 당사, 대기업 본사, 호텔, 백화점 등 모두 26곳의 실내온도를 조사한 결과 22곳이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인 18~20도를 초과.
1998
생태계보전
지난 2월2일 환경련 등 환경단체들은 세계습지의 날을 맞아 광화문 일대에서 갯벌보호대책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개최. 이날 갯벌 파괴의 주범인 간첩사업의 전면 재검토와 공유수면 매립법 폐지, 습지 보전법 제정 등을 정부에 요구.
1998
조직운영
1998
생태계보전
환경운동연합과 한국일보사는 2월25일 제1회 '녹색생명 환경정책 토론회'를 한국교회 10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 건설교통부 수자원개발과의 김석현 서기관이 정부측 대표로 나와 정부의 댐건설 정책에 대한 기조발제 진행. 이 토론회는 2달에 1번씩 정기적으로 개최, 주요환경정책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계획.
1998
생태계보전
지난 3월18일 프레스 센터에서는 환경련과 경실련 등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생명의 숲 가꾸기 국민운동본부 창립식이 개최.
1998
조직운영
환경련과 한국일보가 함께 벌이고 있는 녹색생명운동본부는 매주 토요일마다 사직공원에서 녹색벼룩시장을 진행. 행사 첫날인 지난 3월21일에는 고건 전 국무총리, 문국현 유한킴벌리 회장, 환경련 최열 사무총장 등 사회 각계인사가 함께 참석.
1998
조직운영
94년 창단되어 활동 중인 푸르메알은 현재 10명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주 금요일 면목동 연습실에 모여 정기연습을 하며 매년 3회 정도 길놀이나 풍물굿 행사.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4월 2일 프레스 센터에서 창립5주년 기념식과 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 82년 공해문제연구소로 출발, 93년 전국 8개 환경단체의 연합체로 발족한 환경련은 현재 전국 34개 지역조직과 4만2천여 명의 회원을 보유. 이날 행사에는 고건 전 국무총리와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이 참석.
1998
생태계보전
환경련 등 8개 시민단체 회원들은 지난 14일 서울 서소문 동아그룹 본사 앞에서 동아건설의 김포 매립지 용도변경 추진 계획을 규탄하는 집회 개최.
1998
일반
녹색생명운동본부의 주최로 과천 서울랜드에서 제28회 지구의 날 기념식 개최. 각계 인사들과 시민 3만명 참여.
1998
조직운영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홍보수단으로 '푸르미'라는 캐릭터를 기획. 캐릭터 전문업체인 매스가 제작한 푸르미는 주조색을 녹색으로 하며 숲과 은하수를 상징하며 환경 감시를 위한 눈을 강조.
1998
일반
[환경의 노래]는 생명을 지키는 운동의 의미를 밝히고 건강한 지구의 내일을 준비하려는 의지를 담아 환경련의 4만 회원과 함께 부를 노래. 이에 5월15일까지 노랫말을 공모.
1998
조직운영
9월4일부터 5일까지 종로구 안국동 안국빌딩에서 참여연대와 공동으로 철학카페 '느티나무' 개최. 방송인 김종찬의 사회로 지도위원, 유명인사와 회원간의 대화의 자리 마련.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회원모집 홍보하기 위한 라디오 광고 중. 손숙, 김승현 씨가 무료로 출연한 이 라디오 광고가 5월1일부터 전파를 타면서 2달간 600만원의 후원금을 마련. 이 외에도 강남역, 양재동 화훼공판장, 고양시 호수공원, 사직공원 벼룩시장 등에서 환경련 회원되기 캠페인을 벌여왔으며, 6월에는 롯데백화점, 환경의날 기념행사, 북한산, 드림랜드 등에서도 계속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
1998
반핵탈핵
호주의 우라늄광산 개발에 반대하는 항의 집회가 오후 1시에 광화문 사거리에서 회원과 활동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
1998
생활안전
내분비계교란물질(환경호르몬) 위해성 홍보 캠페인을 탑골공원에서 진행
1998
반핵탈핵
대전지역 지하수, 생수 방사능 오염 관련 긴급 성명 발표.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현재 42,000명의 회원이 활동.
1998
반핵탈핵
대전지역 지하수, 생수 방사능 오염과 관련한 현장 조사활동.
1998
반핵탈핵
대전지역 음용수 중 방사성 물질 함량조사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이 분석기관인 상지대학교 서용찬 교수, 서울대 김록호 교수, 최열 사무총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
1998
조직운영
전국사무국장단회의가 부산 환경련 회의실에서 사무총장과 각 지역의 사무국장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
1998
조직운영
유엔 경제사회 이사회(ECOSOC)로부터 '특정분야 협의자격' 획득. 이로써 환경운동연합은 유엔 경제사회이사회가 주관하는 각종 공개회의에서 옵서버로 참가 가능. 또한 환경사안에0 대한 의견을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면으로 전달할 수 있는 등 유엔 내에서의 공식활동 채널을 획득. 현재 특정분야 협의자격을 지니고 있는 단체는 그린피스, 엠네스티 인터내셔널 등을 포함해 전세계 총 600여 시민단체.
1998
조직운영
[함께 사는 길]이 창간준비호를 내고 한국 환경문제의 최전위에서 현장중심의 보도를 시작한 것은 93년 7월. 통권61호 창간 5주년 기념호를 내면서 지나온 발자취를 돌아보고자 지난 5년의 총 목차 색인을 정리.

콘텐츠

주제별 연표

3879건 검색
연표명
연도
월일
구분
내용
1998
기후에너지
환경련이 1월13일 서울시내 관공서, 정당 당사, 대기업 본사, 호텔, 백화점 등 모두 26곳의 실내온도를 조사한 결과 22곳이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인 18~20도를 초과.
1998
생태계보전
지난 2월2일 환경련 등 환경단체들은 세계습지의 날을 맞아 광화문 일대에서 갯벌보호대책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개최. 이날 갯벌 파괴의 주범인 간첩사업의 전면 재검토와 공유수면 매립법 폐지, 습지 보전법 제정 등을 정부에 요구.
1998
조직운영
1998
생태계보전
환경운동연합과 한국일보사는 2월25일 제1회 '녹색생명 환경정책 토론회'를 한국교회 10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 건설교통부 수자원개발과의 김석현 서기관이 정부측 대표로 나와 정부의 댐건설 정책에 대한 기조발제 진행. 이 토론회는 2달에 1번씩 정기적으로 개최, 주요환경정책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계획.
1998
생태계보전
지난 3월18일 프레스 센터에서는 환경련과 경실련 등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생명의 숲 가꾸기 국민운동본부 창립식이 개최.
1998
조직운영
환경련과 한국일보가 함께 벌이고 있는 녹색생명운동본부는 매주 토요일마다 사직공원에서 녹색벼룩시장을 진행. 행사 첫날인 지난 3월21일에는 고건 전 국무총리, 문국현 유한킴벌리 회장, 환경련 최열 사무총장 등 사회 각계인사가 함께 참석.
1998
조직운영
94년 창단되어 활동 중인 푸르메알은 현재 10명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주 금요일 면목동 연습실에 모여 정기연습을 하며 매년 3회 정도 길놀이나 풍물굿 행사.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4월 2일 프레스 센터에서 창립5주년 기념식과 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 82년 공해문제연구소로 출발, 93년 전국 8개 환경단체의 연합체로 발족한 환경련은 현재 전국 34개 지역조직과 4만2천여 명의 회원을 보유. 이날 행사에는 고건 전 국무총리와 박원순 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이 참석.
1998
생태계보전
환경련 등 8개 시민단체 회원들은 지난 14일 서울 서소문 동아그룹 본사 앞에서 동아건설의 김포 매립지 용도변경 추진 계획을 규탄하는 집회 개최.
1998
일반
녹색생명운동본부의 주최로 과천 서울랜드에서 제28회 지구의 날 기념식 개최. 각계 인사들과 시민 3만명 참여.
1998
조직운영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홍보수단으로 '푸르미'라는 캐릭터를 기획. 캐릭터 전문업체인 매스가 제작한 푸르미는 주조색을 녹색으로 하며 숲과 은하수를 상징하며 환경 감시를 위한 눈을 강조.
1998
일반
[환경의 노래]는 생명을 지키는 운동의 의미를 밝히고 건강한 지구의 내일을 준비하려는 의지를 담아 환경련의 4만 회원과 함께 부를 노래. 이에 5월15일까지 노랫말을 공모.
1998
조직운영
9월4일부터 5일까지 종로구 안국동 안국빌딩에서 참여연대와 공동으로 철학카페 '느티나무' 개최. 방송인 김종찬의 사회로 지도위원, 유명인사와 회원간의 대화의 자리 마련.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회원모집 홍보하기 위한 라디오 광고 중. 손숙, 김승현 씨가 무료로 출연한 이 라디오 광고가 5월1일부터 전파를 타면서 2달간 600만원의 후원금을 마련. 이 외에도 강남역, 양재동 화훼공판장, 고양시 호수공원, 사직공원 벼룩시장 등에서 환경련 회원되기 캠페인을 벌여왔으며, 6월에는 롯데백화점, 환경의날 기념행사, 북한산, 드림랜드 등에서도 계속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
1998
반핵탈핵
호주의 우라늄광산 개발에 반대하는 항의 집회가 오후 1시에 광화문 사거리에서 회원과 활동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
1998
생활안전
내분비계교란물질(환경호르몬) 위해성 홍보 캠페인을 탑골공원에서 진행
1998
반핵탈핵
대전지역 지하수, 생수 방사능 오염 관련 긴급 성명 발표.
1998
조직운영
환경운동연합은 현재 42,000명의 회원이 활동.
1998
반핵탈핵
대전지역 지하수, 생수 방사능 오염과 관련한 현장 조사활동.
1998
반핵탈핵
대전지역 음용수 중 방사성 물질 함량조사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이 분석기관인 상지대학교 서용찬 교수, 서울대 김록호 교수, 최열 사무총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
1998
조직운영
전국사무국장단회의가 부산 환경련 회의실에서 사무총장과 각 지역의 사무국장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
1998
조직운영
유엔 경제사회 이사회(ECOSOC)로부터 '특정분야 협의자격' 획득. 이로써 환경운동연합은 유엔 경제사회이사회가 주관하는 각종 공개회의에서 옵서버로 참가 가능. 또한 환경사안에0 대한 의견을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면으로 전달할 수 있는 등 유엔 내에서의 공식활동 채널을 획득. 현재 특정분야 협의자격을 지니고 있는 단체는 그린피스, 엠네스티 인터내셔널 등을 포함해 전세계 총 600여 시민단체.
1998
조직운영
[함께 사는 길]이 창간준비호를 내고 한국 환경문제의 최전위에서 현장중심의 보도를 시작한 것은 93년 7월. 통권61호 창간 5주년 기념호를 내면서 지나온 발자취를 돌아보고자 지난 5년의 총 목차 색인을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