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543건 검색
단체명
단체구분
설립년도
주요내용
연합체
2017-04-17
도시공원이 사라지면, 도시생태네트워크가 붕괴하고, 지역마을공동체가 망가지면서 도시민의 삶의 질이 악화될 것이므로 중앙정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전국 9개 권역 30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하였다. 7대 과제로 국가의 토지정책 기조에 토지공개념 확대 반영, 도시공원일몰제 해결을 위한 정부전담 부서의 신설, 국민 1인당 생활녹지 확보대책 마련, 개인 사유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 국공유지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자동해제 대상에서 제외, 도시공원의 도시자연공원구역으로 원활한 전환을 위해 도시자연공원 구역 제도 개선, 도시공원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도시의 난개발과 지역사회 갈등을 야기하는 민간공원 특례제도 규제강화, 시민과 토지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도시공원 트러스트 제도 마련을 꼽았다. 우리의 삶의 터전을 지키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더 많은 시민사회와 연대하여, 도시공원일몰제 해결촉구, 도시공원보전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연합체
2012-03-09
생태적 보전가치가 매우 뛰어난 가리왕산 중봉을 파괴하면서 진행하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이 환경올림픽을 반대하며, 환경올림픽을 치루겠다고 거짓을 얘기하고 강원도민과 국민을 상대로는 올림픽 시설을 환경적으로 만들겠다고 자문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위선적이고 기만적인 행동을 일삼고 있는 강원도와 올림픽조직위원회를 더 이상 방관할 수 없어서 결성하였다. 가리왕산 중봉 파괴를 중단하고, 대체지 모색하기 위한 기구를 구성을 제안하였다.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연합체
2010-12-6
민간위원회 보고서를 통해 건강과 보건, 자원보전 및 관리에서 토지이용 및 사막화, 생물다양성, 유해화학물질, 방사능 폐기물 등에 관한 한국의 상황을 담았다. 민간위원회는 지난 10년간 시민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과 일부 성과에도 불구하고 성장위주의 개발 패러다임, 사회적 불평등과 빈곤의 심화, 군사주의로 인한 폭력과 평화 위협이라는 도전에 직면하여 이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고 평가하면서, 대형댐 건설계획과 그린벨트 해제 등을 지적하였다. 현지 회의에는 200여명의 한국민간위원회가 참가해 의제21의 이행상황을 평가하고 새로운 의제를 발굴,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국가발전정책을 평가하고 정부정책의 변화를 촉구하였다.
연합체
2001-07-19
상설
1996-02
1972년 하나뿐인 지구를 주제로 세계 정상들이 모인 스톡홀름 유엔인간환경회의(UNCHE)에서 인류환경보존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을 촉진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합의에 따라 유엔산하 환경전문기구로 설립되었다. 세계환경보호와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이념에 근거하여 전 지구적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 회원국 정부를 비롯한 기업, 학계, 시민사회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 한국위원회는 유엔환경계획 본부 차원 활동의 확산과 환경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실행을 위해 국가별 위원회를 두고 있는 본부의 정책에 따라 1996년 2월에 설립되었다. 국내의 환경보존과 정책증진을 위해 기업과 시민사회를 포함한 사회 각 영역의 참여를 통한 진보적 국제협약의 국내이행을 주창하고, 정부의 환경정책과 제도 및 실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정보제공과 교육프로그램으로 지구환경이슈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연합체
1997-4-18
그린벨트 시민연대는 객관적인 입장에서 그린벨트 보전에 대한 새로운 원칙과 방향을 설정하고 주민불편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키위해 발족하였다.
연합체
1997-07-29
세계 최대의 개펄매립으로 세금이 낭비되고 있는 새만금 간척사업"의 백지화를 위한 캠페인에 힘을 결집한 연대체이다.
상설
1993
1993년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에서 실천하자는 목표를 내걸고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모임에서 출발했다. 94년에 전북환경운동연합으로 조직을 전환하여 무분별한 개발과 성장 지상주의에 맞서 환경을 지키는 녹색의 길을 걸어왔다. 새만금 갯벌 살리기와 전주천 자연하천 조성사업, 모악산 살리기 등의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콘텐츠

단체

543건 검색
단체명
구분
설립
내용
연합체
2017-04-17
도시공원이 사라지면, 도시생태네트워크가 붕괴하고, 지역마을공동체가 망가지면서 도시민의 삶의 질이 악화될 것이므로 중앙정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전국 9개 권역…
연합체
2012-03-09
생태적 보전가치가 매우 뛰어난 가리왕산 중봉을 파괴하면서 진행하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이 환경올림픽을 반대하며, 환경올림픽을 치루겠다고 거짓을 얘기하고 강원도민과 국민을…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상설(지역)
연합체
2010-12-6
민간위원회 보고서를 통해 건강과 보건, 자원보전 및 관리에서 토지이용 및 사막화, 생물다양성, 유해화학물질, 방사능 폐기물 등에 관한 한국의 상황을 담았다. 민간위원회는 지난…
연합체
2001-07-19
상설
1996-02
1972년 하나뿐인 지구를 주제로 세계 정상들이 모인 스톡홀름 유엔인간환경회의(UNCHE)에서 인류환경보존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을 촉진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도적 장치가…
연합체
1997-4-18
그린벨트 시민연대는 객관적인 입장에서 그린벨트 보전에 대한 새로운 원칙과 방향을 설정하고 주민불편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키위해 발족하였다.
연합체
1997-07-29
세계 최대의 개펄매립으로 세금이 낭비되고 있는 새만금 간척사업"의 백지화를 위한 캠페인에 힘을 결집한 연대체이다.
상설
1993
1993년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에서 실천하자는 목표를 내걸고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모임에서 출발했다. 94년에 전북환경운동연합으로 조직을 전환하여 무분별한 개발과 성장 지상주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