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연표

107건 검색
연표명
연도
월일
연표구분
연표내용
2012
6월 20일
정부
브라질에서 열린 유엔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리우 + 20회의)에서 “2백년 빈도의 기상이변에 대비해 추진된 수자원 인프라 개선사업은 홍수와 가뭄 모두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있다”고 연설
2012
7월 2일
현장
녹차라떼라는 신조어가 처음 등장할 정도로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짙은 녹조현상 발생
2013
1월 17일
정부
감사원은 2011년 1월 4대강 1차 감사에서는 문제없다는 결론을 내렸으나 이번에는 ① 설계부실에 따른 보 내구성 부족 및 계속된 유실, 침하로 근본적 보강 필요 ② 수질을 BOD만으로 관리해 수질 상태 왜곡 등 수질 악화 우려 ③ 조류경보제 미 운영으로 상수원 안정성 우려 ④ 준설량 검토 불합리 등을 지적
2013
2월 19일
환경단체
4대강 인명사전편찬위원회는 “4대강사업 반대 운동은 국민적 저항운동이다”라고 평가
2013
3월 11일
정치권
첫 국무회의 주제 발언에서 “4대강에 대해 국민의혹 없도록 철저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말함.
2013
7월 10일
정부
감사원은 “이명박 정부가 대운하를 염두에 두고 설계 변경을 했고 담합을 유발했다”고 평가. 감사 결과에 대해 청와대 홍보수석 이정현은 기자 브리핑에서 "4대강 감사결과가 사실이면 국민을 속인 것"이라 말함. 박근혜 전 대통령은 7월 15일 “4대강사업의 무리한 부분은 과감히 정리해야한다”며 감사원 발표에 힘을 실음.
2014
2월 3일
정부
4대강사업 이후 4대강 습지 40%가 훼손됐다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연구 결과가 공개됐고, 4대강에서는 이전까지 본류에서 볼 수 없었던 ‘큰빗이끼벌레’라는 새로운 생물이 발견
2014
2월 6일
법원
기소된 대형건설사 전·현직 임원 22명 중 현대건설사 전무 1명을 제외하고 전원 벌금과 집행유예를, 담합 건설사 11곳에 벌금 5천~7천만을 선고했다. 4대강조사위원회와 4대강범대위는 “1차 턴키 4대강 담합을 통해 건설사들이 취한 부당이득은 1조239억 원에 달하는데, 겨우 5000~7500만원에 해당하는 벌금을 선고한 것도 범죄의 위중함에 비하면 턱없는 함량미달의 형량”이라 반발했다.
2014
12월 23일
정부
‘4대강 사업의 일부 부작용이 있지만 일정 부분 성과도 있다’는 결과 발표함. 이명박 정부가 공학적 검토와 의견수렴 없이 졸속으로 추진해 16개 보 중에 6개 보에서 누수가 일어났고 수질오염 등의 부작용이 있었지만, 4대강 주변 홍수 위험지역 93.7%에서 위험도가 낮아지는 등 성과도 있다는 내용. 그러나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의 결론은 강을 단절시킴으로서 발생한 근본적 문제를 외면했다는 지적.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는 부작용도 보완하면 개선 가능하다는 입장으로서, 4대강 후유증 해소를 위해서는 보 상시 수문 개방 및 장기적 관점에서 보 철거, 재자연화를 주장하는 4대강 반대 측 입장과 차이가 분명. 4대강범대위와 대한하천학회 등은 12월 26일기자회견을 열고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가 총체적 부실덩어리인 4대강사업에 면죄부를 준 꼴”이라 반박.
2015
1월 28일
정치권
이 책에서 국제금융위기 대응을 위해 4대강사업을 진행했으며, 가뭄 해소, 홍수 예방 등 성과가 있다고 주장
2015
6월 20일
언론
4대강사업 후속 계획 성격으로서, 대략 1조 원을 투입해 4대강 보에서 물을 공급하는 시설을 만들겠다는 내용
2015
12월 10일
법원
대법 판결에 대해 4대강사업을 추진한 전직 국토부 장관들은 “당연한 결과”라 반겼지만, 4대강 국민소송단은 “국민의 상식으로 검증된 4대강사업의 문제점을 모두 부정한 판결”이라며 “대법원이 국토환경 파괴사업에 면죄부를 줬다”고 반발
2016
2월 7일
현장
대구지방환경청은 리굴라 촌충을 원인으로 분석하고, 강준치 떼죽음은 ‘자연적 순환과정’의 일부이며, 리굴라 촌충의 인체 감염 사례가 없다고 발표. 4대강 반대 측은 4대강사업에 따른 인위적 교란에 의한 영향을 지목함. 이어 금강, 낙동강, 한강에서는 4급수 지표생물인 붉은색깔따구 애벌레, 실지렁이 등이 발견돼수질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 4대강사업 이후 녹조현상과 토사 퇴적, 기생충 창궐에 따라 물고기 감소하자 생계가 곤란해진 어민들이 집단으로 반발

콘텐츠

주제별 연표

107건 검색
연표명
연도
월일
구분
내용
2012
6월 20일
정부
브라질에서 열린 유엔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리우 + 20회의)에서 “2백년 빈도의 기상이변에 대비해 추진된 수자원 인프라 개선사업은 홍수와 가뭄 모두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있다”고 연설
2012
7월 2일
현장
녹차라떼라는 신조어가 처음 등장할 정도로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짙은 녹조현상 발생
2013
1월 17일
정부
감사원은 2011년 1월 4대강 1차 감사에서는 문제없다는 결론을 내렸으나 이번에는 ① 설계부실에 따른 보 내구성 부족 및 계속된 유실, 침하로 근본적 보강 필요 ② 수질을 BOD만으로 관리해 수질 상태 왜곡 등 수질 악화 우려 ③ 조류경보제 미 운영으로 상수원 안정성 우려 ④ 준설량 검토 불합리 등을 지적
2013
2월 19일
환경단체
4대강 인명사전편찬위원회는 “4대강사업 반대 운동은 국민적 저항운동이다”라고 평가
2013
3월 11일
정치권
첫 국무회의 주제 발언에서 “4대강에 대해 국민의혹 없도록 철저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말함.
2013
7월 10일
정부
감사원은 “이명박 정부가 대운하를 염두에 두고 설계 변경을 했고 담합을 유발했다”고 평가. 감사 결과에 대해 청와대 홍보수석 이정현은 기자 브리핑에서 "4대강 감사결과가 사실이면 국민을 속인 것"이라 말함. 박근혜 전 대통령은 7월 15일 “4대강사업의 무리한 부분은 과감히 정리해야한다”며 감사원 발표에 힘을 실음.
2014
2월 3일
정부
4대강사업 이후 4대강 습지 40%가 훼손됐다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연구 결과가 공개됐고, 4대강에서는 이전까지 본류에서 볼 수 없었던 ‘큰빗이끼벌레’라는 새로운 생물이 발견
2014
2월 6일
법원
기소된 대형건설사 전·현직 임원 22명 중 현대건설사 전무 1명을 제외하고 전원 벌금과 집행유예를, 담합 건설사 11곳에 벌금 5천~7천만을 선고했다. 4대강조사위원회와 4대강범대위는 “1차 턴키 4대강 담합을 통해 건설사들이 취한 부당이득은 1조239억 원에 달하는데, 겨우 5000~7500만원에 해당하는 벌금을 선고한 것도 범죄의 위중함에 비하면 턱없는 함량미달의 형량”이라 반발했다.
2014
12월 23일
정부
‘4대강 사업의 일부 부작용이 있지만 일정 부분 성과도 있다’는 결과 발표함. 이명박 정부가 공학적 검토와 의견수렴 없이 졸속으로 추진해 16개 보 중에 6개 보에서 누수가 일어났고 수질오염 등의 부작용이 있었지만, 4대강 주변 홍수 위험지역 93.7%에서 위험도가 낮아지는 등 성과도 있다는 내용. 그러나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의 결론은 강을 단절시킴으로서 발생한 근본적 문제를 외면했다는 지적.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는 부작용도 보완하면 개선 가능하다는 입장으로서, 4대강 후유증 해소를 위해서는 보 상시 수문 개방 및 장기적 관점에서 보 철거, 재자연화를 주장하는 4대강 반대 측 입장과 차이가 분명. 4대강범대위와 대한하천학회 등은 12월 26일기자회견을 열고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가 총체적 부실덩어리인 4대강사업에 면죄부를 준 꼴”이라 반박.
2015
1월 28일
정치권
이 책에서 국제금융위기 대응을 위해 4대강사업을 진행했으며, 가뭄 해소, 홍수 예방 등 성과가 있다고 주장
2015
6월 20일
언론
4대강사업 후속 계획 성격으로서, 대략 1조 원을 투입해 4대강 보에서 물을 공급하는 시설을 만들겠다는 내용
2015
12월 10일
법원
대법 판결에 대해 4대강사업을 추진한 전직 국토부 장관들은 “당연한 결과”라 반겼지만, 4대강 국민소송단은 “국민의 상식으로 검증된 4대강사업의 문제점을 모두 부정한 판결”이라며 “대법원이 국토환경 파괴사업에 면죄부를 줬다”고 반발
2016
2월 7일
현장
대구지방환경청은 리굴라 촌충을 원인으로 분석하고, 강준치 떼죽음은 ‘자연적 순환과정’의 일부이며, 리굴라 촌충의 인체 감염 사례가 없다고 발표. 4대강 반대 측은 4대강사업에 따른 인위적 교란에 의한 영향을 지목함. 이어 금강, 낙동강, 한강에서는 4급수 지표생물인 붉은색깔따구 애벌레, 실지렁이 등이 발견돼수질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 4대강사업 이후 녹조현상과 토사 퇴적, 기생충 창궐에 따라 물고기 감소하자 생계가 곤란해진 어민들이 집단으로 반발